힘들게 받은 건강검진, 결과표 보고도 모르면 '말짱 헛일'
건강검진시즌이 시작됐다. 직장인들은 보통 연초나 연말이 다가오는 이맘때 건강검진을
많이 받는다. 하지만 건강검진결과표를 받은 후 이를 통해 자신의 몸 상태가 어떤지 정확히
알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. 알쏭달쏭하기만 한 검진표. 읽는 법을 익혀 스스로 건강상태를
확인해보자.

요검사 결과서. 각종 생소한 항목과 수치가 무엇을 뜻하는지 이해해야 치료·예방 계획을 세울 수 있다.
|
△백혈구 수, 혈소판수치 확인하세요
일반 혈액검사항목에서 유심히 봐야 할 것은 △백혈구 수 △혈색소(헤모글로빈)
△혈소판(PLT)수치다. 백혈구의 정상범위는 4000~1만개다. 혈색소는 혈액에서
산소운반에 관여하는 물질로 기준치 이하일 때 빈혈이 된다. 건강한 성인은 혈액 100㎤(ℓ)에
남자 13∼16.5g, 여자 12∼15.5g이다. 혈소판의 정상범위는 대개 15만~40만개다.
△간세포건강, AST(SGOT)·ALT(SGPT)로 확인
이 수치는 간세포의 건강여부를 알려주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. 간세포가 파괴되면 아미노산의
일종인 아스파라긴산·알라닌분해효소수치가 올라간다. AST는 아스파라긴산분해효소,
ALT는 알라닌분해효소수치다. AST는 심장이나 골격근에도 함유된 효소수치이며 ALT는 간에
존재하는 효소수치다. 둘 다 40IU/L 이하면 정상.
△GGT로 알코올성간질환·담도계질환 가늠
GGT는 감마글루타민전이효소의 줄임말이다. 남성은 11~63IU/L, 여성은 8~35IU/L 이내가 정상.
알코올성간기능장애가 있으면 수치가 올라간다. 수치가 높으면 알코올성간염이나 지방간 가능성이
있다. 또 GGT로 간기능 이상 외에 비만·당뇨·동맥경화증을 예상하기도 한다.
△간·담도질환 알 수 있는 빌리루빈
헤모글로빈이 세포 내 산소전달임무를 마치고 파괴되면 빌리루빈이 생성된다. 빌리루빈은 간이
해독하는데 간 기능이 저하되면 수치가 올라간다. 8~35UI이 정상이다. 간과 담도질환 판정에
사용한다. 빌리루빈 수치가 높으면 황달이 생긴다.
△요당·요단백·요잠혈, 건강한 사람 ‘음성’
요당과 요단백, 요잠혈 결과표에 ‘양성’이 적혀있다면 추가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. 요당은
당뇨병·임신 등이 원인이며 요단백은 고혈압이나 신장염을 유발한다. 요잠혈은 과도한
음주, 피로, 심장질환, 요로결석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.
△콜레스테롤 정상수치는 200mg/dL 이하
이상지혈증(고지혈증)검사는 총콜레스테롤, 중성지방, HDL콜레스테롤, LDL콜레스테롤로
이뤄져 있다. 정상기준은 총콜레스테롤 200mg/dL, 중성지방 150mg/dL, LDL콜레스테롤
130mg/dL을 넘지 않아야 한다. 총콜레스테롤 230, 중성지방 200, LDL콜레스테롤 150이상부터는
‘질환의심’소견이라 할 수 있다. 좋은 콜레스테롤수치로 알려지는 HDL콜레스테롤은 60이상이 정상.
- <옮겨온 메일>
'건강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강하게 살수 있는 지혜 (0) | 2015.11.16 |
---|---|
착각하기 쉬운 웰빙 (0) | 2015.11.14 |
고구마 하루 반개로 '대장암·폐암 예방 효과' (0) | 2015.11.11 |
건강상식 50선 (0) | 2015.11.09 |
불면증 간단하게 고치기 (0) | 2015.11.03 |